[작성자:] admin_som

  • 교육 제도 개편,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

    2025년 대한민국 교육제도는 저출산, 디지털 전환, 지역 불균형 등 사회적 난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면적인 개편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 교육부는 ‘교육개혁으로 사회 난제 해결’이라는 비전 아래, 다음과 같은 주요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

    1. 국가책임 교육·돌봄 체계 구축
      🔹 늘봄학교 전국 확대
      초등학교 방과후와 돌봄을 통합한 ‘늘봄학교’가 2024년 1학기 2,000개교 이상에서 운영되었으며, 2학기부터는 모든 초등학교로 확대되었습니다.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에게 정규 수업 외에도 다양한 교육·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​

    🔹 유보통합 추진
   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이원화된 체계를 통합하여 0세부터 국가가 책임지는 교육·보육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영유아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·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. ​

    1. 교실혁명 및 사교육 경감
      🔹 교권 강화와 수업 혁신
      교사의 수업 외 업무 부담을 줄이고, 교권 보호를 강화하여 교사가 주도하는 교실혁명을 실현하고 있습니다. 이를 통해 학생 중심의 수업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. ​

    🔹 학교폭력 대응 강화
    학교폭력전담조사관을 배치하고, 학교폭력 제로센터를 교육지원청에 확대 설치하여 학교폭력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. ​

    🔹 디지털 기반 학습 지원
    AI 기반 문제은행 프로그램을 고도화하고, 학생 맞춤형 학습 강좌와 진로·학업·진학 멘토링을 제공하여 공교육 내에서 학생들의 대입 준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 ​

    1. 대학 및 지역 교육 혁신
      🔹 글로컬대학 육성
     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 혁신생태계를 구축하여 지역의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지역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, 지역 인재를 육성하고자 합니다. ​

    🔹 교육발전특구 도입
    교육발전특구를 전국에 도입하여 지역의 교육 인프라를 강화하고, 지역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​

    1.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
      학생 개개인의 학업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가 도입되었습니다. 이를 통해 학업성취 진단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맞춤학습을 제공하여 학력 격차를 줄이고 기초학력을 끌어올리고자 합니다. ​

    이러한 교육제도 개편은 학생 중심의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, 사회적 난제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