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카테고리:] Issue

  • 장애인 개인예산제 확대

    장애인 개인예산제는 장애인이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본인의 필요와 선호에 따라 직접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예산(급여)을 개인에게 배정하는 제도입니다. 즉, 서비스 제공자가 아닌 장애인 본인이 중심이 되는 ‘이용자 주도형’ 복지 모델입니다.

    🗓️ 주요 연혁 및 배경
    2022년: 시범사업 시작 (지자체 및 발달장애인 중심)
    2024년~2025년: 사업 범위 및 적용 대상 확대
    2025년 기준: 장애인 주간활동·방과후 활동·발달재활서비스까지 확대 적용

    ✅ 주요 목적
    🔹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보장
    🔹 맞춤형 서비스 제공
    🔹 복지 효율성 제고 및 권리 기반 강화

    💼 확대된 적용 분야
    2025년부터 아래 서비스에도 개인예산제가 적용됩니다:
    주간활동서비스: 성인 발달장애인의 낮 시간 활동 지원, 사회참여, 여가, 직업체험 등
    방과후 활동서비스: 청소년 발달장애인의 방과후 돌봄 활동, 학습·놀이·돌봄을 결합한 지원
    발달재활서비스: 언어치료, 놀이치료, 음악치료 등, 치료기관 선택의 폭 확대

    🔍 기대 효과
    ✔️ 장애인 자립 생활 촉진
    ✔️ 서비스의 질과 선택권 향상
    ✔️ 과도한 행정 절차 간소화
    ✔️ 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 완화

    ⚠️ 제도 운영상 과제
    지자체 간 격차:
    운영 인프라 및 예산 역량 차이로 지역 간 서비스 품질 격차 발생 우려
    예산 사용의 투명성:
    개인 계좌 사용 시 관리·감독 필요
    장애인의 의사결정 지원체계 강화 필요
    인지·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중증 장애인을 위한 지원 체계 구축 필요

    🧾 결론
    장애인 개인예산제는 단순한 복지 지급 방식의 변화가 아닌,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권리를 확대하는 중요한 전환점입니다. 장애인이 “수동적 수혜자”에서 “능동적 결정자”로 변화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제도이죠.